│취(取)중진담│ 우리는 부산에서 살고 싶다
│취(取)중진담│ 우리는 부산에서 살고 싶다
  • 김효정 기자
  • 승인 2020.09.15 2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효정 기자

부산은 '제2의 도시'이자 '노인과 바다'다. 아이들이 '나라의 미래'인 것처럼 청년들은 '도시의 미래'이다. 하지만 지난 8월 기준 부산의 2-30대 인구는 약 86만 명, 60대 이상 인구는 94만 명 정도다. 부산은 청년보다 노인이 더 많다. 도시의 경제 활동 인구는 곧 도시의 생명력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우리가 사는 부산은 생명력을 잃어가고 있다.

부산의 청년은 다 어디로 갔을까. 이들은 수도권으로 향했다. 수도권 밀집화가 점차 심각해지면서 부산을 비롯한 지방은 죽어가고 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자체에서는 청년 유치를 위해 온갖 수단을 동원하지만, 실효성 있는 뾰족한 대책은 마련되고 있지 않다. 고향에 남을 이유가 사라진 청년들은 수도권으로 향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지방소멸 현상은 더욱더 심각해질 것이다.

청년 유출의 문제점을 인지한 부산시는 다양한 정책을 통해 청년을 지역에 머물도록 노력하고 있다. 올해 부산 청년 정책 예산은 약 330억 원이다. 그러나 부산 청년 인구는 2010년 이후 계속해서 내림세를 보이며 2018년 현재까지 총 8,395명이 감소했다. 다양한 청년 정책이 시행된들 실효성이 없다면 이는 예산 낭비에 불과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등장한 행정수도 이전안과 동남권 메가시티는 꺼져가는 부산의 생명력을 살릴 근본적인 방안은 아닐까.

이는 그동안 계속해서 지방소멸의 해결책으로 제기됐던 방법들이지만, 본격적인 실행은 최근에 와서야 논의되고 있다. 지방 청년들에게는 지자체 차원에서 실행하는 정책이 아닌 더 본질적이고 파격적인 유인책이 필요하다. 행정수도 이전과 동남권 메가시티는 수도권에 집중된 국가의 기능을 분산하고 수도권 과밀 현상을 진정시킬 수 있기에 지방소멸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는 비수도권을 살릴 동아줄이다.

수도권 및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청년들이 많아질수록 부산 내 인프라와 기업은 점차 줄어들 것이다. 이로 인해 부산에 남은 청년은 더욱더 설 자리를 잃게 되고 더 많은 청년이 외부로 이동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행정수도 이전과 동남권 메가시티가 반복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다면 청년들은 부산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행정수도 이전과 동남권 메가시티는 지역 균형 발전의 첫걸음에 불과하다. 따라서 비수도권은 이번 논의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균형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또 다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부산에 사는 대학생으로서 경제적·심리적으로 부담이 되는 서울로의 이동보다는 지역의 경쟁력이 높아져 지역을 떠날 필요가 없어지길 바란다. 행정수도 이전 및 동남권 메가시티가 그 밑거름의 역할을 해 부산이 수도권에 못지않은 힘을 가질 수 있길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550번길 37 (하단동) 동아대학교 교수회관 지하 1층
  • 대표전화 : 051)200-6230~1
  • 팩스 : 051)200-6235
  • 청소년보호책임자 : 권영성
  • 명칭 : 동아대학교 다우미디어센터
  • 제호 : 동아대학교 다우미디어센터
  • 등록번호 : 대전 가 00000
  • 등록일 : 2017-04-05
  • 발행일 : 2017-05-01
  • 발행인 : 이해우
  • 편집인 : 권영성
  • 동아대학교 다우미디어센터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동아대학교 다우미디어센터
ND소프트